역시 탭의 언어 오늘은 퇴근하고 잠깐이라도 프로젝트를 위해 시간을 쓰기로 했다. 약 1시간 반동안 작업한것 같은데 아직 시작단계여서 여러 툴들을 설치하고 어제 시도해봤던 색깔 인식의 오류를 찾아내기로 하였다. 역시 탭의 언어... 코드를 다시 자세히 보고 if 안에 if가 있어야 text가 살아있을 수 있는것을 알았다... 초보라서 그런지 초보적인 실수를 했는데 당시엔 왜 못찾았을까.. 너무 초보같네;; rgb값을 추출 성공한 모습이다! 이 rgb 값 과 픽셀좌표를 이용해서 머신러닝을 진행해 볼까 하는데 잘됬으면 좋겠네.. 데스크탑에 tensorflow 설치 현재 포스팅을 하고있는 노트북은 내장그래픽카드를 쓰기 때문에 tensorflow를 쓸 수 없다. 그래서 데스크탑에 tensorflow를 설치해주고 ..
python 색깔 인식 코드 개발에 제일 첫번째로 해야할 작업이 python 을 이용해 색깔을 인식해 내야 이후 학습이 가능할 것 같아서 색깔을 인식할 수 있는 코드를 찾아보았다. 아 그 전에 색깔 인식하는데 사용할 사진들을 캡쳐했다.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인 무신사와 울트라패션에서 캡쳐해였는데 무신사에서는 색깔을 이렇게 분류해놓고 유저들이 원하는 색상을 선택하게 해놓은것을 확인하였다. 이 색상들을 사용할 수도 있을것 같다. python 코드는 https://ichi.pro/ko/python-eseo-saegsang-insiggi-bildeu-78631720658006 Python에서 색상 인식기 빌드 이 게시물에서는 Python을 사용하여 고유 한 색상 인식기를 구축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이 프로세스를..
7.20 화 / 같은과 친구 영일이에게 OSS 에서 주관하는 공개sw 에 참가할 생각이 있는지 연락이 왔다. 최근 무언가 결과물을 만들어내고 싶다는 생각이 있던 찰나여서 좋은 기회라고 생각해 수락했다. 분야는 빅데이터, AI 로 정하고 어떤 프로그램을 만들지 상의 하던 도중 패션에 관련한 아이템을 만들어보자는 이야기가 나왔고 어울리는 색깔을 머신러닝한 앱으로 유저가 상하의 옷을 규격에 맞추어 사진을 찍거나 올리면 그에 어울리는 색깔의 하상의를 추천해주는 프로그램을 생각해보았고 참가신청서를 작성하게 되었다. 게임을 만드는 프로젝트와 같이 이런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 데에 있어 굉장히 설레었고 그날 밤 어떻게 설계를 해 내야할지 생각하느라 시끄러웠었다. 7.26 월 / OSS로 부터 참가 안내 메일이 왔다...
기본 문법들이 확실히 c 랑 비교해서 쉬운듯 변수 선언할 필요도 없고 그렇기 때문에 자료형을 미리 생각해놓고 코드를 짤 필요도 없는거같음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를 하는데 자료값을 앞에 명시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인식하는 것 같음 코드 a=10 b=2 c=a+b #plus 한줄주석 // 은 python에선 # print("한줄주석 // 은 python에선 #") print(c) print("파이썬은 탭 이 중요") if c>=10: print("합격") d=5/2 e=5//2 #나눈 값을 정수로 출력 print("나눈 값을 정수로 출력") print(d) print(e) f=2**3 #2^3 임 print("f=2**3") print(f) #정수화 함수 print("정수화 함수") int(5/2) int('9..
https://www.ybmit.com/ YBM IT 국제 IT 자격증 www.ybmit.com 사이트 참고 시험 개요 + 유의사항 등 10문제 1,000점 만점 600점 커트라인 1급 - 90분 (완성3, 부분7) 45,000 2급 - 50분 (완성2, 부분 8) 35,000 파이썬 설치 (이미 설치되어있음) C:\Users\user>python Python 3.8.9 (tags/v3.8.9:a743f81, Apr 6 2021, 14:02:34) [MSC v.1928 64 bit (AMD64)] on win32 Type "help", "copyright", "credits" or "license" for more information. >>> (강의에선 3.7 버전으로 진행하는데 상관없을것 같아서 따로..
준비비간 : 2주 교재 : 2021 시나공 컴퓨터 활용능력 1급 필기 후기 : it 전공생이기 때문에 함수를 다루는데에 있어서 그닥 어렵지 않았네요, 컴퓨터 일반과목도 그냥 하루이틀 보고 특별히 어려운거 없어서 대충 뭐있는지만 보고 봤었습니다. 엑세스도 학교에서 DB를 다뤄본적 있어서 어렵진 않았구요 엑셀의 폼이나 보고서 같은 기능들을 익히느라 하루에 2시간 - 2주 정도 공부해서 합격점수 받았네요. 솔직히 it 전공생은 컴활 필요 없지만 빅데이터랑 sql 자격증 취득에 앞서서 db 기본이 되는 엑셀이나 엑세스를 한번 익혀보고 싶었어서 필기를 보게 되었네요. 이왕 한거 실기까지 봐서 컴활1급 완전히 취득해보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