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윈도우 환경에 vagrant + virtualbox 로 vm 을 만들고 그 위에 구성 minikube 권장사항 2 CPUs or more 2GB of free memory 20GB of free disk space Internet connection Container or virtual machine manager, such as: Docker, QEMU, Hyperkit, Hyper-V, KVM, Parallels, Podman, VirtualBox, or VMware Fusion/Workstation 1. 도커 설치 minikube 가 동작하기 위해선 가상환경이 필요하기 때문에 VM 내에 Docker 를 설치해줬다 설치 상세 : https://docs.docker.com/engine/instal..
목차 설치 도커 설치 sudo apt install docker.io -y sudo usermod -aG docker $USER && newgrp docker 도커 설치 후 일반 유저 허용 minikube 다운로드 및 설치 curl -LO https://storage.googleapis.com/minikube/releases/latest/minikube_latest_amd64.deb sudo dpkg -i minikube_latest_amd64.deb minikube 실행 minikube start --driver=docker sudo snap install kubectl minikube 일지성지/재가동 minikube pause minikube unpause cluster 삭제 minikube dele..
목차 YAML # multi-node-cluster-config.yaml # a cluster with 3 control-plane nodes and 3 workers kind: Cluster apiVersion: kind.x-k8s.io/v1alpha4 nodes: - role: control-plane - role: control-plane - role: control-plane - role: worker - role: worker - role: worker 클러스터 생성 PS C:\sungyeonwoo\SRE-Incubation\kind> .\kind create cluster --name yw-kind-cluster --config multi-node-cluster-config.yaml Creat..
목차 본인 환경은 window 11 pro 에 docker desktop 이 설치되어있음 설치 https://github.com/kubernetes-sigs/kind/releases Releases · kubernetes-sigs/kind Kubernetes IN Docker - local clusters for testing Kubernetes - kubernetes-sigs/kind github.com 위 사이트에서 알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다운로드한 폴더의 이름을 kind.exe 로 바꾸고 터미널에서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한 후 kind create cluster --name kind 실행 해당 경로를 환경변수에 추가할 수도 있다고 한다. 참고 블로그에서는 kind 는 기본적으로 kubectl ..
한 일주일 전부터 로그 파일이 비어있는 상황 발생 직접 서버에 들어가서 파일을 실행해봤을때 ~/CICDpipeline-Pord-Autotrade-EC2-TradeServer$ sudo python3 ethereum_autotrade.py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home/ubuntu/CICDpipeline-Pord-Autotrade-EC2-TradeServer/ethereum_autotrade.py", line 1, in import pyupbit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pyupbit' 라고 나오는 현상 확인 - apt, apt-get 업데이트 후 실행 시 동일 문구 반환 - pyupbit 모듈 삭제 후 재실치..
목차 kube-bench 는 kubernetes cluster 가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구성되어있는지 검사해주는 툴이다. 취약점 스캔 결과를 PASS, FAIL, WARN 3가지로 출력해주고, Remediations 항목에서 어떻게하면 개선되는지 가이드도 해준다고 한다. 이 방법은 kube-bench container 를 cluster 에 배포해서 cluster 전체를 스캔하는 방법이다. master, worker, etcd, policies 등을 한번에 검사할 수 있다고 한다. 클러스터는 이전에 생성한 kind 클러스터를 검사할 예정 kubebench.yaml 파일 생성 https://github.com/aquasecurity/kube-bench/blob/main/job.yaml GitHub - aqu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