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기싫어
article thumbnail

 

 

Point7. SELECT문 실행 순서

- SQL의 실행 순서는 결과로 조회된 데이터를 이해하는데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 SELECT 문의 실행 순서는 FROM, WHERE, GROUP BY, HAVING, SELECT, DRDER BY 순으로 실행된다.

SELECT문의 실행 순서

 

 

 

 

 

POINT8. 명시적(Explicit) 형변환과 암시적(Implicit) 형변환

- 명시적 형변환은 형변환 함수를 사용해서 데이터 타입을 일치시키는 것으로 개발자가 sql 을 사용할 때 형변환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형변환 함수

형변환 함수 설명
TO_NUMVER(문자열)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한다
TO_CHAR(숫자or날자, [format]) 숫자 혹은 날자를 지정된 포멧의 문자로 변환한다.
TO_DATE(문자열, format) 문자열을 지정된 포멧의 날자형으로 변환한다

 

- 암시적 형변환은 개발자가 형변환을 하지 않은 경우 dbms 가 자동으로 형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Point.9 내장형 함수 (BUILT-IN Function)

 

  • 내장형 함수

모든 db는 sql 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내장형 함수를 가지고 있다.

 

 

  • DUAL 테이블

- DUAL 테이블은 Oracle db에 의해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테이블이다.

- 오라클db 사용자가 임시로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로 내장형 함수를 실행할 때도 사용할 수 있다.

- 오라클db의 모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 내장형 함수의 종류

문자열 함수

문자열 함수 설명
ASCII(문자) 문자 혹은 숫자를 ASCII 코드값으로 변환한다
CHAR(ascii 코드값) ASCII 코드값을 문자로 변환한다.
SUBSTR(문자열,m,n) 문자열에서 m번째 위치부터 n개를 자른다.
CONCAT(문자열1, 문자열2) - 문자열1번과 문자열2번을 결합한다.
- Oracle은 '||' , MS-SQL은 '+'를 사용할 수 있다.
LOWER(문자열) 영문자를 소문자로 변환한다
UPPER(문자열) 영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한다.
LENGTH 혹은 LEN(문자열) 공백을 포함해서 문자열의 길이를 알려준다.
LTRIM(문자열, 지정문자) - 왼쪽에서 지정된 문자를 삭제한다.
- 지정된 문자를 생략하면 공백을 삭제한다.
RTRIM(문자열, 지정문자) - 오른쪽에서 지정된 문자를 삭제한다.
- 지정된 문자를 생략하면 공백을 삭제한다.
TRIM(문자열, 지정된 문자) - 왼쪽 및 오른쪽에서 지정된 문자를 삭제한다.
- 지정된 문자를 생략하면 공백을 삭제한다.

 

날자형 함수

날자형 함수 설명
SYSDATE 오늘의 날짜를 날짜 타입으로 알려준다.
EXTRACT('YEAR' | 'MONTH' | 'DAY' from dual) 날짱[서 년, 월, 일 을 조회한다.

 

숫자형 함수

숫자형 함수 설명
ABS(숫자) 절대값을 돌려준다
SIGN(숫자) 양수, 음수, 0을 구별한다
MOD(숫자1, 숫자2) - 숫자1을 숫자2로 나누어 나머지를 계산한다
- %를 사용해도 된다.
CEIL/CEILING(숫자) 숫자보다 크거나 같은 최소의 정수를 돌려준다
FLOOR(숫자) 숫자보다 작거나 같은 최대의 정수를 돌려준다
ROOUND(숫자, m) - 소수점 m 자리에서 반올림 한다.
- m의 기본값은 0이다.
TRUNC(숫자, m) - 소수점 m 자리에서 절삭한다.
- m의 기본값은 0이다.

 

 

 

 

 

 

 

 

어제 밤새서 오늘은 여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