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머신러닝은 gpu가 되는 데스크탑에서만 되고
구름 ide 에도 gpu 는 지원하지 않아서(2022년에 gpu 활용해서 사용한다고 함)
노트북과 데스크탑의 파일들을 수동으로 옮겨가면서 개발했었다.
근데 그게 너무 귀찮았고
최근 휴대폰으로도 데스크탑에 원격 접속해서 간단한 작업들을 하고싶었다.
이걸 모두 데스크탑과 노트북을 연동해서 사용하고싶었다.
그러니까 host가 데스크탑으로 쓰고
client 가 노트북과 휴대폰이 되는 느낌으로?
그래서 여러군데 알아봤는데
우선
https://leirbag.tistory.com/28
[Google] 윈도우 구글 드라이브 사용법
구글 드라이브 구글 드라이브로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백업하고 여러 컴퓨터에 동기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특정 폴더를 지정하여 구글 드라이브 서버로 실시
leirbag.tistory.com
이분 블로그를 통해서 노트북과 데스크탑의 연동을 할 수 있을것 같다.
지금은 회사라 ㅋㅋ
이따 퇴근하고 집가서 해봐야지
그리고 휴대폰과 데스크탑 연동은
https://m.blog.naver.com/lskimch/221307660913
스마트폰에서 집PC를 내맘데로 원격 조정~ 구글 원격 데스크톱 사용법!
스마트폰에서 원격으로 pc를 컨트롤 할수있는 구글 크롭 원격 데스크톱을 설치해봤습니다. 간단하게 설명하...
blog.naver.com
이걸로 가능할것 같다!
자 그리고 이제 앞으로 4학년이니까
프로젝트를 많이 진행할것같으니
협업 환경도 한번 생각을 해봤는데
https://happy-inside.tistory.com/65
[GitHub] 깃허브 사이트와 컴퓨터 연동하기
깃허브 저장소와 내 컴퓨터 동기화 시키기 'Git'이라는 걸 이용해서 여러 사람들과 함께 특정 프로젝트를 동시에 작업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소스 코드를 여러 명이서 고친다고 하더라도 충돌이
happy-inside.tistory.com
구글드라이브에 동기화된 폴더 안의 디렉토리들을 개별로 git 하여 연동할 수 있을것 같다?
일단 지금 당장은 협업은 없으니까 이정도로만 해보자
물론 이따 집가서 ㅋㅋ
그런데 일단 이렇게 구상을 다 하고 나니
지금 이 구성도 어떻게보면 로컬연동인데
차라리 이 데이터들을 클라우드에 구축하고 사용하면 더 좋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구름docker나 AWS cloud9 정도를 사용하면 어떨까 싶은데
구름은 jupyter 기반이고 aws는 vim과 ace editor 인듯 한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나 유니티작업은 안되겠지만
단순 python 코딩연습이나 ml 실습 + 프로젝트 같은 경우에는 개발환경을 아예 클라우드로 해보는건 어떨까 하는 생각이다.
2.17_크롬원격데스크탑 설치
이제 휴대폰으로 컴퓨터를 원격접속 할 수 있게됬다!
'낭비없는낭만은없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울트라PC에 Ubuntu 설치 (0) | 2022.07.15 |
---|---|
서울 흡연실 있는 카페들 (0) | 2022.07.04 |
waves tune 쿠폰 구입 (0) | 2022.02.17 |
waves tune 다운/설치 (0) | 2022.02.16 |
가상화폐 자동매매프로그램 alias 설정 (0) | 2022.02.11 |